경영정보

고객센터

070-7122-0300

fax 0303-0111-8111
HOME > 경영정보 > Biz News

Biz News

이름 관리자 이메일 bizfocus@hotmail.com
작성일 20.08.11 조회수 830
파일첨부 기계융합산업표준과,중소·중견기업의 혁신기술 국제표준화로 세계시장 진출 지원.hwp
제목
중소ㆍ중견기업의 혁신기술 국제표준화로 세계시장 진출 지원 추천:429

중소ㆍ중견기업의 혁신기술 국제표준화로 세계시장 진출 지원

 

- 국제표준 전문가를 기업에 짝지어 주는 「표준화 지원 매치업 사업」 23일 발대식 -

 

중소ㆍ중견기업이 개발한 우수 기술을 국제표준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정부가 국제표준전문가를 기업과 일대일로 짝지어 주는 「표준화 지원 매치업 사업」을 본격 시작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승우)은 ´20.7.23(목) 서울 더 케이호텔에서 ‘국제표준 컨설턴트’로 선발된 표준전문가 26명, 국제표준화가 가능한 기술을 보유한 23개 기업, ATC 협회 등 유관기관 관계자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표준화 지원 매치업 사업’ 발대식을 개최했다.

 

< 매치업 사업 발대식 행사 개요 >

 

▪ (일시/장소) ´20. 7.23(목) 14:00 / 서울 더케이호텔 금강 A홀

 

▪ (참 석 자) 국제표준 컨설턴트, 매치업 대상기업, 유관기관 관계자 등 50여명

 

▪ (행사내용)
- (MoU) 기업지원 유관기관 간 협력 양해각서 체결(국표원, ATC협회,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표준협회)
- (국제표준 컨설턴트 위촉) 국제표준 전문가 26인 선발하여 위촉
- (참여기업-국제표준 컨설턴트 간 1:1 매칭) 23개 기업과 매칭 협약식

 

표준화 지원 매치업 사업은 지난 해 수립한 ‘4차 산업혁명 시대 국제표준화 선점 전략*’의 일환으로, 중소ㆍ중견기업의 국제표준화를 맞춤형으로 지원하기 위해 마련했다.

 

*‘19.6.20. 국무총리 주재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발표 

 

4차 산업혁명 10대 혁신성장 분야*의 우수 기술을 개발ㆍ보유한 중소ㆍ중견기업에 국제표준 전문가를 짝지어 주어, 해당 기술의 국제표준 제안에서부터 제정까지의 전 과정을 전담 지원한다.

 

* 자율ㆍ전기차, 에너지(수소 등), 지능형로봇, 스마트제조, 바이오ㆍ헬스, 드론ㆍ해양구조물, 스마트시티ㆍ홈, 비메모리반도체, 디스플레이, 스마트팜 

 

국표원은 공개모집을 통해 국제표준화 활동 경험을 보유한 국제 표준 전문가 26명을 선발, 이 날 국제표준 컨설턴트로 위촉했다.

 

이번에 선발된 국제표준 컨설턴트는 미래차, 바이오, 지능형 로봇 등 4차 산업 분야에서 10여년 이상의 기술 전문성을 가지며 ISO/IEC 등 국제표준화기구의 의장ㆍ간사ㆍ컨비너 등으로서도 국제표준화활동 경험을 갖춘 은퇴 전ㆍ후 전문가들이다.

 

이에 국제표준전문가가 그간 현장에서 쌓은 경험과 지식을 중소ㆍ중견기업에 전수하는 연대와 협력을 이루는 좋은 사례가 될 전망이다. 

 

* 국제표준 컨설턴트 위촉 현황(붙임 1)

 

국제표준 컨설턴트들은 매치업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23개 기업과 이 날 매칭 협약을 체결하고, 표준화 지원 업무를 시작했다.

 

23개 기업은 ‘국가기술은행(NTB)에 등록된 우수 기술을 보유한 기업*’또는 ‘우수기술연구센터(ATC)**’로 지정된 기업 중에서, 국제표준화 가능성 및 시급성 등을 토대로 선정했다.

 

*   NTB(National Tech-Bank, 국가기술은행) 등록 기술 : 204,574건 (´20.7)

**  ATC(Advance Technology Center, 우수기술연구센터) : 566개 지정 (´20.7) 

 

국제표준 컨설턴트들이 기업과 국제표준을 추진할 대표적인 과제로는 협동로봇 충돌방지기능 평가기술((주)뉴로메카, 이순걸), 바인더 젯팅 방식 적층제조물(3D 프린팅) 평가(삼영기계, 한순흥), 자율농기계 이력 데이터(긴트, 김경욱)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포함해 23개 과제의 국제표준화를 전주기 지원한다.

 

* 매치업 사업 선정 기업 및 국제표준화 지원 기술명(붙임2)

 

국표원은 선정된 기업의 직원과 국제표준 컨설턴트의 국제표준화회의 참가 여비를 지원하고, 더불어 국제표준화를 위해 추가적으로 시험   데이터 등을 연구개발 해야 할 경우 표준기술력향상사업을 통해 지원 하는 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국표원은 국가기술은행(NTB)를 운영하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우수기술연구센터(ATC)협회, 한국표준협회 등 유관기관과 표준화 지원 매치업 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장은 “국제표준 컨설턴트가 보유한 풍부한 표준화 경험과 글로벌 인적 네트워크를 중소ㆍ중견기업이 활용함으로써 국내 중소ㆍ중견기업의 혁신기술이 국제표준화로의 제안과 제정이 가속화 될 것”이라면서,

 

“앞으로 매년 20여 기업을 매치업 사업 대상으로 선정해 「4차 산업혁명 시대 국제표준화 선점 전략」이 종료되는 ´23년까지 100여개의 국내 중소ㆍ중견기업이 국제표준화 무대에 등장 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이전글 중소기업이 은행 창구에서 매출채권보험 상품에 대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다음글 디지털뉴딜, 정보통신기술(ICT) 중소기업 사이버안전망 확충 추경 사업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