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정보

고객센터

070-7122-0300

fax 0303-0111-8111
HOME > 경영정보 > Biz News

Biz News

이름 관리자 이메일 bizfocus@hotmail.com
작성일 20.08.11 조회수 857
파일첨부
제목
FTA 원산지관리, FTA-PASS로 쉽고 등록일2020.07.16 추천:443

FTA 원산지관리, FTA-PASS로 쉽고 등록일2020.07.16

관세청(청장 노석환)은 FTA 원산지관리시스템(이하 FTA-PASS)을 전자통관시스템(이하 UNI-PASS)과 연계시킴으로써 수출기업이 FTA-PASS내에서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원산지증명서(C/O)를 신청할 수 있도록 개선해 16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개요) FTA 원산지관리(원산지 판정 증명서 발급, 증빙서류 보관 등)를 기업들이 쉽고 체계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10년부터 관세청이 개발 보급하는 원산지관리시스템

 

(운영) (재)국제원산지정보원

 

(현황) 가입 기업 23,437개사 / 원산지 판정 1억5천만건 / 서류발급 32만6천건(’10년~’20년 6월말)

 

우선, 수출자가 기관발급 원산지증명서를 신청하는 경우 UNI-PASS 수출신고 정보를 원산지증명서 신청서에 자동으로 기재되도록 개선했다.

 

* 기관발급 : 수출자(생산자)가 원산지 결정기준을 확인해 원산지증명 발급을 신청하면 발급기관(세관 또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이를 심사해 발급하는 방식으로, 우리나라가 체결한 16개 FTA 협정 중 기관발급 방식을 채택한 FTA는 중국, 아세안, 인도, 베트남, 싱가포르임

 

이에 따라 수출자가 원산지증명서 신청시 입력하는 정보는 한 품목당 최대 17개 항목에서 3개 항목으로 크게 줄었고,  원산지증명서의 정확성과 신뢰성도 높였다.

 

나아가 FTA-PASS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편리하고 유용한 기능을 추가했다.

 

먼저, 1국가 다협정 세율 비교기능이다. 한-베트남 FTA·한-아세안 FTA, 한-중 FTA APTA 등 1개 국가에 여러 협정이 적용되는 국가로 수출할 경우 세율이 낮은 협정의 정보를 제공받아 수출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그 동안 간편형(’19년 서비스 개시) 사용자에게는 서비스가 제한되었던 기관발급 원산지증명서 신청 기능이 일반형과 간편형 사용자 모두에게 확대되어 기관발급이 필요한 한-중 FTA 등 5개 협정에 대한 원산지증명서 신청이 편리해졌다.

 

자세한 FTA-PASS 기능개선 사항은 FTA-PASS 누리집(www.ftapass.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세청은 “앞으로도 사용자 의견수렴을 통해 FTA-PASS의 불편한 점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사후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출처 : 관세청

이전글 그린뉴딜을 선도할 「그린뉴딜 유망기업 100」 선정 공고
다음글 디지털 뉴딜, 코로나 이후 디지털 대전환을 선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