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정보

고객센터

070-7122-0300

fax 0303-0111-8111
HOME > 경영정보 > Biz News

Biz News

이름 관리자 이메일 bizfocus@hotmail.com
작성일 20.08.11 조회수 894
파일첨부 중소기업_핵심인력의_기술유출_디지털포렌식_지원(기술보호과).hwp
제목
중소기업의 핵심인력에 의한 기술유출, 디지털포렌식으로 조기 대응 추천:464

중소기업의 핵심인력에 의한 기술유출, 디지털포렌식으로 조기 대응

 

□ 기술유출 중소기업이 조기에 증거를 확보하도록 디지털포렌식 전문기업과 1:1 매칭

 

□ 피해 중소기업당 최대 연 500만원 분석 비용 지원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는 퇴직직원이나 내부직원에 의해 기술유출이 의심되는 중소기업이 신속한 증거확보를 할 수 있도록 디지털포렌식 분석 비용을 7월 15일부터 연말까지 지원한다고 밝혔다.

 
중소기업의 기술유출 사고는 상당 부분 퇴직자나 내부직원에 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중소기업은 전문지식의 부재와 보안 관리체계의 미흡 등으로 적절한 초동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 ‘중소기업 기술보호 통합 상담센터‘에 접수된 법률위반 인정사건 중 54%가 퇴직자나 내부직원에 의한 것으로 확인

 
기술유출은 대부분 디지털기기를 통해 발생하고 있고 피해기업은 고소ㆍ신고에 앞서 증거확보를 위해 이를 조사할 필요가 있는데 이에 가장 효율적인 수단이 디지털포렌식 분석이다.

 
디지털포렌식은 PC, 노트북, 휴대폰 등 저장매체나 온라인상 남아있는 각종 디지털 정보를 분석해 기술유출 등의 단서를 찾는 기법이다.

 

이에 중소벤처기업부는 ’디지털포렌식 지원사업‘을 올해 연말까지 시범 추진한다.

 
임직원에 의해 기술유출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은 자사 소유의 업무용 디지털기기에 대한 포렌식을 위해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이하 협력재단)에 지원사업을 신청할 수 있다.

 
협력재단은 피해발생 시점, 피해 내용, 분석대상 등을 검토해 17일 선정 예정인 전문 포렌식 업체(5개 기업 선정 예정)와 피해 중소기업을 1:1 매칭시켜 상담, 포렌식 수집과 분석을 진행하게 된다.

 

중소벤처기업부 관계자는 “피해기업은 디지털포렌식을 통한 초동 대응으로 명확한 증거자료 확보가 가능하며, 후속조치*를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라며,

 

“올해 시범으로 추진하는 사업인 만큼 앞으로 중소기업 의견을 반영해 현장이 원하는 방향으로 사업을 운영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 기술유출 발생 이후 고소ㆍ고발, 손해배상청구, 조정ㆍ중재 신청 등 적극적인 법적 조치 시 활용

 
한편 중소벤처기업부는 내부정보유출 방지, 사이버공격 대응을 위한 네트워크 관제서비스인 ‘중소기업 기술지킴서비스(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 02-3489-7050~7053)’도 제공하고 있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를 이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디지털포렌식 지원사업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보호울타리(www.ultari.g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메일(forensic@win-win.or.kr)로 접수하면 된다.

 
* 중소벤처기업부(www.mss.go.kr) 및 대ㆍ중소기업ㆍ농어업협력재단(www.win-win.or.kr) 누리집에서도 확인 가능

 

※ 출처 : 종소벤처기업부

이전글 디지털 뉴딜, 코로나 이후 디지털 대전환을 선도합니다!
다음글 청년기업 2,000개사, 세무회계ㆍ기술임치 수수료 100만원씩 지원